국내 대표 자동차 기업인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3사가 외형과 실적 성장을 동시에 이루면서 합산 시가총액이 140조원 시대를 맞을 것이라고 하이투자증권이 12일 전망했다.
조희승 연구원은 & #x27;현기모(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높아진 기초여건(펀더멘털), 전기차 사업 수익성,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중에서 주가수익비율 하락(디레이팅) 요소는 없다& #x27;며 현대차와 기아의 목표주가를 각각 28만원과 13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현대모비스 목표가를 29만원으로 유지했다.
목표가를 적용한 3개사 시가총액은 현대차 60조원, 기아 52조원, 현대모비스 27조원 등 모두 140조원이다.
조 연구원은 & #x27;현재 3개사의 합산 시가총액이 107조원으로, 다시 100조원 시대를 맞았다& #x27;며 & #x27;이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현대차와 기아가 판매 대수를 400만대에서 800만대로 확장하면서 이들 3개사가 시총 120조원대를 달성한 지 8년 만이다& #x27;라고 설명했다.
그는 & #x27;현대차와 기아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판매량을 700만대로 줄이고 고정비 부담, 신형 엔진과 친환경차 개발 부담으로 하락세를 면치 못하다 다시 판매 대수를 750만대로 늘리는 외형 성장을 앞두고 있다& #x27;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 #x27;평균 판매가격(ASP)도 올라 이익 수준이 높아졌다& #x27;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 #x27;성수기인 2분기에 현대차와 기아 영업이익은 각각 4조원과 3조1천억원으로 최대치를 갈아치울 것& #x27;이라며 & #x27;이는 생산 정상화와 판매 대수 증가, 가격 상승세, 가동률 개선에 따른 고정비 절감 등에 따른 것& #x27;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 #x27;완성차 업종에선 기아를, 부품업종에선 HL만도, 현대오토에버를 각각 선호한다& #x27;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