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종목토론방

PT403 텀시트 수령!!! 내용은?
추천 1 | 조회 1022 | 번호 13465706 | 2023.07.03 10:20 jutamin
http:& #x2F;& #x2F;www.bosa.co.kr& #x2F;news& #x2F;articleView.html?idxno=2177507 (2030년 항비만제 전성시대)

https:& #x2F;& #x2F;www.yna.co.kr& #x2F;view& #x2F;AKR20230411122400009 (다이어트산업 된서리)

https:& #x2F;& #x2F;www.yakup.com& #x2F;news& #x2F;index.html?mode=view&cat=16&nid=282840 (오젬픽 모조품)

드디어 PT403 텀시트를 수령했죠~ 아직 샴페인을 터트릴시점은 아니지만 축하할 일이며 주가도 반응하고 있죠~ 텀시트는 간단히 말해 본계약의 틀이며 기술이전금액, 계약금, 로열티 및 중요계약사항을 제시한것이구요~ 이제 공은 펩트론에게 넘어왔죠~ 수락할지 재협상을 할지......기술검증이 마무리된시점에 경쟁사 암젠의 임상진입으로 빠른계약체결만이 경쟁구도를 유지할수 있기 때문에 조급함이 보이죠~ 그만큼 계약제시조건도 좋으리라 예상하구요~ 원만한 본계약을위해 펩트론측에서도 빠른수락이 있을것으로 보여지죠~

현장실사는 시설, 회계, 특허관련 확인차원이구요~ 이를 대비해 설비정비 및 누적 결손금을 모두 털어내는 결손보전을 단행해 재무구조를 개선한것이죠~ 지금의 자사주를 사지못하는것도 장부상의 재무건정성 척도중 하나인 현금보유비중을 유지하기 위함이구요~ 계획이 되어있었던 것처럼 빠르게 진행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있죠~ 상대제약사의 빠른진행 요청이 있지 않고서야 펩트론 단독으로 설레발치지 않았을거구요~ 이후 본계약은 텀시트조건+세부조율사항으로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는 과정임에도 이전과정과 같이 이미 세부조율사항도 어느정도 협의됐을 가능성이 높죠~ 때문에 타사 본계약기간보다 빠른시기에 계약을 끝낼것으로 예상하고 있구요~

https:& #x2F;& #x2F;biz.chosun.com& #x2F;science-chosun& #x2F;bio& #x2F;2023& #x2F;05& #x2F;30& #x2F;Q7PNR2XK65G7NC33CI7FCR7JRA& #x2F;?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노보노디스크는 & #x27;기존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를 더 고도화하는 한편, 희소질환과 성장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결과물을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인슐린과 비만 치료제의 투여 주기를 늘리면서!!!(현재 주1회 그럼 다음은? 월1회? 그다음은 격월1회?) 효과는 대폭 확대한다는 목표다.& #x27;

암젠의 임상1상중인 한달제형이 출시가 앞설순 있으나 높은 원가로 인한 가격 경쟁력에서 약하죠~ 그에비해 펩트론 1~3달 제형은 낮은 원가, 대량생산용이, 스마트데포기술의 FDA3상 이력으로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이 앞서기에 암젠에 비해 출시시기가 늦어짐에도 시장을 잠식할것으로 보여지죠~ 2~3개월 제형의 선찜으로 노보노디스크는 글로벌 비만치료제시장 1위를 공고히 다질 계획이구요~

릴리 또한 펩트론과의 PT404 MTA계약체결이후 진행은 앞선 계약에서의 루트를 재확인하는 차원일것이구요~ 예상되어지죠~ 겹호재며 묻고 따블로 갈것으로 보여지죠~

https:& #x2F;& #x2F;www.hankyung.com& #x2F;it& #x2F;article& #x2F;202211176354i

펩트론의 터닝포인트인 PT105 계약을 앞두고 있죠~

다케다제약의 신약 루프린은 1989년 출시 후 30년이 넘도록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의약품이죠~

https:& #x2F;& #x2F;nedrug.mfds.go.kr& #x2F;searchDrug?sort=&sortOrder=false&searchYn=true&ExcelRowdata=&page=1&searchDivision=detail&itemName=&itemEngName=&entpName=&entpEngName=&ingrName1=&ingrName2=&ingrName3=&ingrEngName=Leuprorelin+acetate&itemSeq=&stdrCodeName=&atcCodeName=&indutyClassCode=&sClassNo=&narcoticKindCode=&cancelCode=&etcOtcCode=&makeMaterialGb=&searchConEe=AND&eeDocData=&searchConUd=AND&udDocData=&searchConNb=AND&nbDocData=&startPermitDate=&endPermitDate=

http:& #x2F;& #x2F;www.dailypharm.com& #x2F;Users& #x2F;News& #x2F;NewsView.html?ID=301778&REFERER=NP

현재 루프린(오리지날)의 제네릭은 동국제약, 대웅제약, 한올바이오파마에서 판매중이며 동국제약만이 생동성임상을 진행중이죠~ 펩트론의 PT105의 생동성임상 승인일자 2022-02-15일로 10개월이 지난 2022.11.17일 동등성확보 결과를 발표했기에 이기간을 유추해볼경우 동국제약은 9월쯤 결과가 나올것으로 보이구요~

펩트론은 PT105 첫번째 생동성임상은 실패를했고 두번째 임상에서 성공했죠~ 루프린의 동등성을 확보한 최초의 제네릭이며 기존 제약사들의 동등성확보가 쉽지 않다는것을 알수 있죠~ 오리지날 루프린 대비 약물 입자 크기 및 주사바늘 굵기까지 줄여 투약 편의성을 높임으로서 오리지널과 기존 제네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수 있죠~

블럭버스터신약의 특허기간 만료시 많은 제약사들이 제네릭시장에 뛰어들죠~ 환우 및 주치의는 같은성분 비슷한효능을 지닌 약중에 어떤약을 선택할까요? 최선의선택은 효능은 같고 투약편의성이 좋은 약으로 환자의 고통을 줄여 주는것이죠~

생동성임상성공의 중요성은 7월에서 9월로 미뤄진 약가조정에 있죠~ 9월이후 동국제약, 대웅제약, 한올바이오파마의 제네릭은 동등성확보 자료를 제출하지 못할것으로 보여지며 약가 인하를 받게되고 약의 신뢰성저하로 경쟁력을 잃게 될것으로 보이죠~

현재 유일하게 동등성을 확보한 펩트론의 PT105는 제품출시후 국내 제네릭부분을 잠식 및 오리지널도 장악할수 있는 확정된 매출 이익이기에 다수의 제약사들이 계약접촉을 했던것이구요~

국내 루프린 1개월 제형 시장은 2021년기준 600억원(오리지날 150억원+제네릭 45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제네릭 450억중 300억 매출을 올렸던 대웅제약의 효자품목인 루피어데포는 펩트론이 만든약이죠~ 하지만 루피어데포는 이번 약가조정대비 생동성임상승인도 아직 못받은 상태구요~

PT105 국내 출시 후 해외 판권 계약과 선진국 기준 생동성시험을 진행해, 2조원 규모의 글로벌 루프린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여지죠~

http:& #x2F;& #x2F;www.k-health.com& #x2F;news& #x2F;articleView.html?idxno=63686

제네릭의약품시장이 커짐에 따라 안정되고 신뢰성을 확보한 약효지속 플랫폼을 가진 펩트론의 스마트데포기술은 필수가 될것이며 1달제형부터 경쟁사가 급격히 줄고 그이상제형에선 경쟁사를 찾기 힘들것으로 보여지죠~ 반도체장비 슈퍼을로 불리는 ASML도 초창기엔 자금난을 겪던 평범한 장비회사였죠~ 경쟁사가 기술력에서 뒤쳐지기시작해 범접하지못할 시기가 도래할때 슈퍼을이 만들어지며 펩트론은 당뇨비만치료제의 1달제형이 글로벌제약사의 선택을 받으며 슈퍼을로서 첫발을 내딛은것으로 보이죠~

PT105국내판권계약건, PT105해외판권계약건, PT105생산을위한 공장증축건, PT105제품 출하건, PT403 본계약건, PT404 MTA계약건, PAB001 임상1상 진입건, 테라베스트 상장건, PT320 파킨슨 연구자임상3상완료건, PT320 파킨슨 기술이전 및 글로벌제약사협업 임상건, 인벡스사와의 PT320추가적응증 임상건, 일회성이 아닌 영업이익 흑자전환건..... 예상되어지죠~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