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종목토론방

파킨슨 임상 3상 가즈아!!! 해외편
추천 0 | 조회 49 | 번호 13441388 | 2023.02.23 13:42 jutamin
현재 파킨슨병에 대한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레보도파를 통한 도파민 보충요법이며 이와같은 요법은 증상을 완화할 수는 있으나 질병의 진행을 중단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장기간 복용시 이상운동증과 같은 부작용이 동반되죠~

레보도파 - 카비도파와 복합처방되며 약물치료의 기준으로서 파킨슨병 약물중에서 가장 효과적이죠. 초기부터 모든 단계에서 사용되고 있죠~

도파민효능제 - 초기 파킨슨병에 단독 또는 레보도파의 보조제로 사용되죠. 이상운동증의 발생은 낮은 편이지만 부작용때문에 환자 개인별 적합성을 고려해야 하죠~

항콜린제 - 운동성증상을 조절하는데에는 적합하지않지만 떨림을 조절하는데 우선 사용되죠~

마오비 억제제 - 이상운동증을 줄여주고 레보도파의 용량을 감량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죠~

아만타딘 - 오프타임과 이상운동증을 줄여주죠~

사피나마이드 - 가장 효과적인 약물로 인정되고 있으며 서동,경직,보행등의 증상을 개선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죠~

아스트라필라인 - 운동성 증상의 개선, 오프타임의 감소등에 효과적이죠~

피마바세린 - 파킨슨병 정신질환인 환각, 망상에 효과적인것으로 보고되고 있죠~

이상의 약물들은 파킨슨병의 운동성 증상, 정신질환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로 진행정지나 느리게 하는 근본치료제에는 근접하지 못하고 있죠~

CNS 질환은 혈액과 뇌 사이를 차단하는 보호막인 혈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투과하는 약물 개발이 관건이다.

BBB는 혈액 내 위험한 물질이 뇌로 직접 향하는 것을 막는다. 일반적으로 BBB는 포도당, 아미노산, 뉴클레오시드와 같은 저분자 물질은 통과시키는 반면, 500달톤(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은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BBB가 CNS 질환 치료에 있어서는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 질병 치료를 위해 투여한 고분자 약물까지도 막아버리기 때문이다.

이에 치료제의 BBB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수용체 매개 운반체(Receptor Mediated Transporter, RMT)를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알파시누클레인항체 PRX002 2b상- 2a상 실패의 원인중 하나인 투여량의 약 0.3%만이 뇌의 CSF 로 전달되었음이 임상데이터로 알려졌죠~ 펩트론의 PT320은 BBB 투과율 2% 이상이죠~

NADPH 산화효소 SIMVASTATIN 2상- 면역반응, 세포신호전달, 항상성 유지 등의 필수적인 역활도 있으나 도파민성 세포에 강한 신경독성을 나타내 부작용우려가 높죠~

ADENOSINE RECEPTOR A2 BIIB014(2상) ISTRADEFYLLINE(3상) SCH 420814(3상 실패) CAFFEINE(3상 실패)- 파킨슨환자의 OFF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로 기존 카비도파 치료약물과 큰차이점이 없죠~

GLUCOCEREBROSIDASE AMBROXOL(2상)- 알파시누클레인 축적을 감소시키고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보호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죠~
위약그룹이없는 17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생화학적 변화를 테스트하는 소규모임상 - CSF 검사에서 6개월후 암브록솔이 존재했으며 혈류에서 뇌로 이동할수 있음을 증명, 알파시누클레인 증가확인 뇌에서 노폐물제거가 개선되었음을 시사

항당뇨제제 PIOGLITAZONE(2상 실패) EXENATIDE(3상) NLY01(2상)- 인슐린 신호 경로를 타깃으로하는 약물이며 EXENATIDE(3상)이 펩트론의 PT320 영국 연구자임상이죠~

알츠하이머치료제 DONEPEZIL, MEMANTINE- 파킨슨병과 공통적인 병리 기전이 존재한다는것을 근거로 적용개발중이죠~
메만틴은 원래 1968년 일라이릴리(Eli Lilly)에 의해 당뇨치료용으로 허가받은 약
1968년 한 여성이 독감때문에 아만타딘(amantadine)을 처방받았는데, 원래부터 앓고있던 파킨슨 병의 증상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아만타딘 유도체의 중추신경계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다.(메만틴은 아만타딘의 유도체이다.

ABBV-951 블록버스터 확장3상중.....2023년 출시예정 1일1회 주사제

영국연구자임상3상은 지난 임상으로 어느정도 예상은 가능하죠~ 레보도파병행 2.0mg투여....운동기능개선은 확인됐죠~ 여기서 중요한건 인지기능 개선여부죠~ 인지기능에도 효과를 확인한다면 알츠하이머 적응 임상진행도 힘을 받을뿐아니라 국내2a상에서 용량확인한 2.5mg투여시 운동기능 인지기능 효과는 예상이되죠~
앞으로 이어질 2b상 이나 희귀질환 패스트트랙으로 3상 진입시 기대해볼만하죠~ 오히려 부작용이 심한 신약보다 안전성이 확보된 당뇨치료제의 파킨슨 최초 근본 치료제로 등극될수도 있죠~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