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 은행은 왜 작심하고 주주환원 나섰나[1]
      추천 3 | 조회 175 | 번호 1169621 | 2024.11.27 11:33 현이 (jhyun***)
      - 이자이익만 60조…전성기 삼성전자와 엇비슷 -
      은행 주가가 좋은 건 무엇보다 실적이 좋기 때문이다.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이 올 들어 3분기까지 44조원을 넘겼다.
      이 추세라면 올 한 해 60조원 가까이 될 것 같다.
      분기당 약 15조원에 달한다. 삼성전자가 메모리 반도체로
      돈을 쓸어 담았던 2017년, 2018년에 분기당 15조원쯤 벌었다.
      이자 장사해서 삼성전자만큼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

      - 주주환원 정책 우르르 내놔 -
      그런데 은행 주가가 오른 진짜 이유는 사실 따로 있다.
      실적 만으로 주가가 이렇게까지 오를 순 없다.
      실적만으로 주가가 오른다면 한국 증시가 유독 저평가된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말도 없었겠죠.
      실적만 좋고 주가는 형편없는 회사가 한국 증시엔 널렸다.
      주주이익을 위해 경영진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은행이 먼저 각성하기 시작했다. 주주환원에 나선 거다.

      - 자사주 매입으로 ROE 개선 효과 -
      은행의 주주환원은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하다.
      미국의 JP모간, 뱅크오브아메리카 같은 은행들은
      최근 1~2년 새 주주환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 덕분에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대부분 1배를 넘어가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 은행의 PBR은 높아봐야 0.6배 수준이고
      대부분은 0.5배도 안 된다. 한국 은행의 평균 PBR이 1배가 된다면
      대부분의 은행 주가가 지금보다 두 배 더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 ...
      3
      2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