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미국 제2 리먼사태 터진다 99% 확신 [1]
      추천 3 | 조회 293 | 번호 1167666 | 2024.03.14 16:57 2100년출생자 (mlong***)
      현재 미국 상당히 모순된 금융시스템 입니다..
      서민들 은행 예금이 0.5%인데 회사채, 대출금리가 5~6%입니다.. 기준금리 3,5%
      서민들은 저축하면 손해 대부분 돈을 벌려면 예금이 아닌 ..투자를 해야
      서민들 예금이 없이 대출로 유지 부익부 빈익빈 심각 더욱 가난해지는 모순된 자본주의
      미국 가상화폐, 주식도 거품 주식시장 시가배당률 기준금리 절반 수준
      문제의 심각성은 미국 상업용 부동산
      미국 상업용 상가 부실이 230조 여기에 부실율이 8% 공실이 늘고 있습니다
      기업,금융, 기업 은행 예치금 없는 상태... 예치 해도 은행이자가 낮아 손해..
      미국 기업들은 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시장. 투자금 조달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대출로 유지하는 서민, 상가, 중소기업이 심각한 문제
      상업용 부동산이 중국,러시아 투자금 철수로 악순환에 빠진 상태
      현재 자료를 다 찾아오면 미국 상업용 부동산이 리먼사태하고 유사합니다.
      우리나라 연기금, 금융사들 미국 상업용 부동산 50조 물려 있습니다

      1. 금융 시장 불안정성:
      금리 인상: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기업 부채 비용 증가 및 자금 조달 어려움
      경제 침체 가능성: 경제 침체로 인한 기업 부채 불이행 증가 및 금융 시장 불안정성 심화
      국제 정세 불안: 국제 정세 불안으로 인한 투자 위축 및 금융 시장 변동성 증가
      2. 금융기관들의 위험 자산 증가:
      최근 금융기관들의 위험 자산 증가 추세
      특히, 부동산 시장의 위험 증가
      3. 금융 시스템의 취약점:
      금융 시스템의 복잡성과 연결성으로 인해 위기 발생 시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
      4. 리먼 사태와 유사한 상황:
      현재 상황이 2008년 리먼 사태 이전 상황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지적

      우리나라 연기금,금융사들 미국 보유 부동산 50조 부실화 가능성 있다고 판단..
      1. 투자 부실화 가능성:
      금리 인상: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 하락 및 부동산 소유자들의 부채 부담 증가
      공실률 증가: 온라인 쇼핑 성장, 사무실 공유 서비스 확산,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 증가
      투자 심리 위축: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금리 인상 지속, 국제 정세 불안 등의 영향으로 투자자들의 상업용 부동산 투자 심리 위축
      2. 투자 규모:
      연기금: 2023년 11월 기준, 약 20조 원 투자
      금융기관: 2023년 11월 기준, 약 30조 원 투자
      3. 영향:
      투자 손실 발생 가능성: 투자 부실화로 인한 연기금 및 금융기관의 투자 손실 발생 가능성
      금융 시스템 불안정성: 투자 손실로 인한 금융기관의 손실 증가 및 금융 시스템 불안정성 심화 가능성



      3
      3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