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침체는 반드시 오는데 버블이 먼저다
      추천 5 | 조회 223 | 번호 1166782 | 2023.12.09 14:05 삼식이는되지말자 (201ba***)
      월스트리트저널은 11월15일자 뉴스에서
      미국이 인플레이션 이후 연착륙에 성공한 경우가
      지난 80년 동안 한번도 없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는 가능할 수 있다는 희망도 같이 전했다.

      작년 부터 경기침체가 온다고 전세계가 시끄럽다가
      점차 이거 아닌가부네.
      스므스하게 잘 넘어가나부네.
      라고 긍정론이 많아졌다.
      정말 그렇게 될까?
      절대 아닐 것이다.
      작년에 침체장 예고들 할 때 나는 절대 아니라고 우기다가 쌈도 많이 했는데
      지금은 또 안일한 긍정론자들을 나는 비웃는다.

      미국의 십몇년 호황의 뒤끝은 당연히 공황급 침체가 필연이고
      지금 전세계가 AI 신규 수요 하나 때문에
      미국의 빅테크가 세계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있지만
      그 외 다른 나라는 진작부터 침체이다.
      전기차고 AI고 지금 잘 나가는 시절 기준으로
      앞으로 몇년 뒤에 시장규모가 몇십배로 커진다는 둥 발표하는데
      이거 완전 구라다.

      일단 경기가 꺼꾸러진다고 판단 되기 시작하면
      조달 되던 돈들 모두 숨어버린다.
      AI에 투자하지 않으면 회사의 미래가 없는 것 처럼
      모든 대기업들이 무차별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일단 하강사이클 들어가면
      열개 중에 여덟아홉개 회사는 망하거나 상폐된다.
      그 과정을 거쳐야 이후에 진정한 위너가 세계를 지배한다
      역사가 그랬다.
      닷컴버블 때도 그랬고
      리먼브러더스 사태 때도 그랬고
      지금은 그 때 보다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 않다.

      닷컴버블 때도
      새롬기술 이제 완전히 죽었지싶을 때
      두번이나 반토막 이상 났다가 세번째 신고가 나오고 그 뒤 완전 망했다.
      에코프로 두번 죽었다가 마지막 세번째 버블이 남았을 것 같다.
      AI핑계로 오르는 반도체와 소프트웨어관련주들 이하동문.
      2006년 호황 때도 미국금리 피크찍은 뒤 1년 동안
      주식부동산버블이 극심했는데 금리인하해 주기 시작하면서 망했다.
      미국 모기지회사들 연쇄도산하고
      리먼브러더스 사태 터진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금리인하 서너번 진행 된 뒤에 터졌다.
      진짜 돌팔이전문가와 철없는 백성들이
      금리인하 언제 나오나 그 날이 오면 천국의 길이 보이는 줄 알고
      기다리고 있는데
      천국은 죽은 뒤에 가는거야.

      금리인하 전
      마지막 세번째 버블장은 올 것이다.
      상식과 기본논리를 잊어버리고 세상에 좋은방향만 보이는
      히로뽕시대가 지금 눈 앞에 대기하고 있다고 믿는다.
      환각장세는 온다.
      2024년이 끝나기 전에
      1930년대 대공황급 침체도 기다린다고 믿는다.


      5
      4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