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린스키 대통령은 세계가 기후변화, 기아, 빈곤, 문맹, 대기오염, 식수공급 부족 등 국경을 넘어서는 문제들을 의미 있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제27차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7) 정상회의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화상 연설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이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퇴보시키는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비판하고 있다(왼쪽).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가 제27차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7) 정상회의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제27차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7) 정상회의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참석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이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퇴보시키는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전쟁 개전 6개월 만에 우크라이나 숲 500만에이커가 파괴됐다”며 “러시아의 공격으로 작물 재배가 불가능했고, 곡물 수출까지 방해했던 러시아의 행위로 글로벌 식량위기가 야기됐다. 이는 특히 기후변화 피해가 심각한 개도국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고도 덧붙였다.
기후변화가 촉발한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가 물에 잠기기 시작한 태평양 섬나라 투발루의 카우사 나타노 총리와 국토 3분의 1이 물에 잠기는 최악의 홍수를 올해 경험한 파키스탄의 셰바즈 샤리프 총리가 이 같은 주장을 내놓는 선봉장 역할을 자임했다.
화석연료 가격 상승으로 떼돈을 버는 에너지 기업에 ‘횡재세’를 물려 개도국에 대한 보상 재원으로 써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개도국과 선진국 간의 의견이 극명히 갈렸다.
미아 모틀리 바베이도스 총리도 화석연료 관련 기업들이 기후 피해 당사국들을 돕는 기후기금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카리브해 섬나라 앤티가 바부다의 개스턴 브라운 총리는 한발 더 나가 “작은 섬나라들이 화석연료세를 받지 못한다면, 이 문제를 국제법으로 가져가 오염 유발국이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 했다.
하지만,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곳은 세금 규정을 만드는 자리가 아니라, 기후변화의 결과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개발하는 자리여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