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주요7개국(G7) 확대회의에서 G7이 주도하는 & #x27;기후클럽(Climate Club)& #x27;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또 & #x27;그린 공적개발원조(ODA)& #x27;를 확대해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0일 오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회의 두 번째 세션에 참석해 글로벌 탈탄소 국제협력에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G7 노력에 적극 보조를 맞춰나가겠다고 했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기후클럽 가입은) 국제사회에 탈탄소 국제규범을 만드는데, 즉 룰세팅을 하는데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기존의 2050 넷제로(Net Zero)보다 더 야심찬 목표와 이행 계획을 앞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우리나라는 다양한 녹색산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도국의 녹색성장을 위한 국제기구 & #x27;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x27;의 설립을 주도했으며 지난해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를 계기로 ADB는 국내에 & #x27;기후혁신기술지식허브& #x27;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기후클럽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의 주도로 G7과 일부 개도국이 현재 논의 중이고,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계기로 창설될 예정이다. 기후클럽은 △기후 행동 촉진 △청정 경제 활성화 △국제협력 강화 등을 바탕으로 전 세계가 협력해 빠르고 적극적으로 탈탄소를 이뤄내는 것이 목표다.
최 수석은 "우선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청정 경제 활성화 부문에서 저탄소 신산업 육성과 친환경 제품 시장을 형성하고 산업 부분의 국제 표준화 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기후클럽 논의에 적극 참여하면서 우리 산업계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