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 너무 쏠림 현상이 일어나면 (공매도 전면 금지까지) 모든 방법을 쓸 수 있다는 원칙적인 고려가 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6일 공매도 전면 금지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원장은 "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공매도와 같은) 선진국에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면서도 "외부 환경에 취약한 우리 금융시장 특성상 심리적 불안으로 시장이 쏠리면 예외를 두지 않고 모든 조치를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이 원장은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진행된 '제1차 사업재편-은행권 연계 전략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에 비해 특정 지표가 너무 이탈해 있다면 상식적인 선에서 공감대가 있을 때 (공매도 전면 금지와 같은) 조치를 쓸 수 있다는 대전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최근 세계 3대 채권지수 중 하나인 세계국채지수(WGBI) 관찰 대상국에 등재되는 등 그러한 노력에 공매도 금지와 같은 것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고민해봐야 한다"면서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점검 아래 시장 쏠림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쓸 수 있다는 것에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금감원 모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하면서 국정감사 국면에서 공매도 전면 금지가 다시 이슈로 부상했다. 이날 금융위를 대상으로 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공매도 문제가 거론됐다.
이에 앞서 금융당국은 이달 중순 최대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를 재가동할 계획을 알리며, 필요하면 공매도 금지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