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펀드 완전정복]펀드에 투자할까? 직접 투자할까?[4]
추천 0 | 조회 16293 | 번호 1151 | 2008.03.14 14:49 금융플라자 (finance1.***)
펀드에 투자할까? 직접 투자할까?
글쓴이 : 남은호 (이트레이드증권 해외PB팀 팀장)

"왜 펀드에 투자해요? 우량주에 직접투자하면 되죠."

적지 않은 증권사 VIP고객들이 하는 말이다. 재테크를 조금 아는 투자가들은 펀드에 투자하지 않는다. 펀드가 투자하는 대상은 우량주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수료도 많다. 판매 수수료, 유지보수 수수료, 환매 수수료, 매매 수수료 등 펀드마다 평균적으로 1년에 3% 내외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1년에 3% 정도의 수수료는 적은 돈이 아니다. 3년 투자하면 복리 이자로 9%이고, 5년이면 15%가 넘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해외펀드 중 일부가 차익에 대한 양도세를 내지 않는다고 하지만, 많은 경우에 주식 차익 양도세보다 더 많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여유자금이 있어도 투자할 대상이 마땅히 없다고들 한다. 한국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장해 준 부동산에 투자하자니 부동산은 가격 부담이 크다. 더군다나 정부에서는 집값을 잡는다고 하니 여유자금 1~2천만 원으로는 부동산 근처에도 가지 못한다.

또다른 경우로 안전한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이자수익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외식 한 번 줄이면 1년 은행 이자 정도는 모을 수 있을 만큼 이자는 기회비용이 너무 적은 투자처다.

주변에는 기초 생활비를 뺀 여유자금으로 할 수 있는 투자 대상이 별로 없다. 그래서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한다. 요 몇 년동안 한국에는 펀드열풍이 불고 있지만 부자들은 펀드에 투자하지 않는다.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그렇다. 부자들은 우량주에 직접 투자한다.

즉, 자산가들은 우량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택한다. 특히 펀드가 공통적으로 보유하는 종목에 직접 투자한다. 그 종목들이 모든 펀드가 매수하는 대표 우량주이기 때문이다. 수익률은 당연히 펀드의 2배다. 펀드는 3%내외 수수료를 매년 내야 하지만 우량주는 1% 이하 수수료를 한 번만 내면 10년이든 20년이든 100년이든 다른 추가 비용 없이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펀드는 세금을 내지 않지만 해외 주식은 세금을 낸다. 그러나 주식을 보유하는 기간 동안에는 세금을 내지 않고 주식을 팔 때만 수익률의 20%를 내게 된다. 주식을 1년 이상 보유하면 세금을 내고도 펀드 수익률 몇 배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차이나모바일, 중국인수보험 등은 중국 최고의 대표 우량주이기 때문에, 소위 중국 펀드라고 하는 펀드에는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고 세금을 내더라도 펀드보다 수익률이 훨씬 높다.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존경하는 사람은 당연 워렌 버핏일 것이다. 그는 세계 최고의 부자이며 최고의 기부자이다. 그렇다면 그는 어떻게 많은 자산을 불렸을까? 답은 주식이다. 그는 주식으로만 돈을 벌었다. 그는 펀드나 부동산에 투자하지 않는다.

"왜 부동산에 투자합니까? 부동산 개발회사에 투자하면 다 알아서 투자해 줄 텐데요."

천재 투자가 워렌 버핏의 말이다.

[남은호, '중국주식공략법' 저자/이트레이드증권 해외PB팀 팀장]


[펀드 완전정복] 펀드 환매의 기술
[재테크 아이큐]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원인과 상황
[부동산 알짜정보] 최대 4분의 1 가격으로 내집마련 시대온다
[재테크 아이큐] 우리아이 부자만들기 마시멜로의 교훈과 저축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