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연구개발(R&D)본부 내 엔진개발센터를 전격 폐지했다. 파워트레인담당 조직은 전동화개발담당으로 전면 개편했다. 더 이상 내연기관 엔진 신모델은 내놓지 않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한 것이다. 1991년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한 알파엔진을 시작으로 30년 동안 현대차를 글로벌 완성차 업체 위치에 올려놓은 엔진 개발을 포기하고,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결정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17일 사상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본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남양연구소로 불리는 연구개발본부는 R&D 인력만 1만2000명 규모로, 현대차그룹의 ‘두뇌’에 해당하는 핵심 조직이다.
현대차는 엔진 동력을 바퀴까지 전달하는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파워트레인담당을 전기차 R&D 전담조직인 전동화개발담당으로 바꿨다. 엔진개발센터는 아예 없애고, 파워트레인 관련 센터는 모두 전동화 관련 조직으로 전환했다. 동시에 배터리개발센터를 신설해 전기차 경쟁력의 핵심인 배터리 기술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개발 일정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R&D부서 간 벽도 허물었다. 기존에는 차급별 프로젝트매니지먼트(PM)담당과 제품통합개발담당이 따로 있었지만 이를 합쳐 설계(아키텍처)부터 양산까지 차량 개발 조직을 일원화했다. . . . 기초소재 개발에도 힘준다- 기초선행연구소는 기초소재연구센터로 이름을 바꿨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판매가 늘어날수록 배터리, 반도체 등의 원료가 되는 기초소재가 중요해질 것이라는 판단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