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 [천자 칼럼] 개미가 돈 못버는 이유[1]
      추천 8 | 조회 350 | 번호 1146650 | 2021.08.30 10:47 현이 (jhyun***)
      요즘 주가가 비교적 약세지만 최근 코스피지수는 코로나 공포가
      극에 달했던 지난해에 비하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3100 근처인 요즘 코스피지수는 지난해 3월 19일 장중 저점(1439.43)의 두 배가 넘는다.
      이것만 보면 개인투자자(개미)들의 주머니도 꽤나 두툼해졌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투자자들의 사정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지난해 3~10월 개인투자자 약 20만 명의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가격이 이미 급등한 주식을 매수하는 경향이 크고
      주가가 오르면 서둘러 팔지만 떨어지면 매도를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의 매수 전 40일간 해당 주식의 수익률이 25.8%였던 반면,
      매수 후 40일간 수익률은 11.6%로 크게 낮아졌다.
      매수 바로 다음날 이익이 난 투자자의 41%가 바로 팔아치운 데 반해,
      손실 난 투자자 중에는 22%만이 손절했다.
      한마디로 비싼 주식에 뒤늦게 올라타 주가가 오르면 ‘찔끔’ 먹고 나오고,
      주가가 떨어지면 손절은 않고 소위 ‘존버’(계속 버티기)에 들어간다는 얘기다.

      개미들이 이런 패턴을 따르는 건 ‘탐욕과 공포’라는 인지상정 때문이다.
      성공(이익)은 빨리 확정짓고 싶고 실패(손실)는 좀체 인정하려 들지 않는
      인간 본성 역시 ‘성공 투자’를 가로막는다.
      기업과 시장 분석능력보다 심리가 더 중요하다는 점에서
      요즘 ‘주식심리학’이 뜨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식으로 돈 벌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모래알처럼 흩어진 개미들은
      기관·외국인과 달리 시장을 움직이는 주도세력이 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동학개미운동’이라며 개인들은 지난해부터 삼성전자 주식을 대거 사모았고,
      올 들어서도 4억주 가량 사들여 개인투자자 지분율이 13%를 넘었다.
      하지만 반도체 호황에도 주가는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 비중이 높아진 것도 이유 중 하나다.

      이래저래 개인이 주식으로 수익 내기는 참으로 어렵다.
      투자조언을 해준다는 소위 ‘전문가’들 역시 주식투자로 돈을 잘 번다면
      굳이 그런 서비스를 할 턱이 없다.
      어쩌다 주식으로 인생역전을 이룬 이들은 투자를 대하는 태도가
      보통 사람과 다르게 타고났다고 보면 된다.
      한 가지 위안거리는 주식투자에 실패했다고 자책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당신은 지극히 정상인 인지상정을 가진 보통사람이기 때문이다.
      [한국경제 읽다가..]
      8
      4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