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홍콩 ELS사태' 조기상환 '빨간불' 미국투자자 전량 매도
      추천 0 | 조회 132 | 번호 1146600 | 2021.08.26 13:06 김영안 (world2***)
      코스피 오후장에 홍콩증시로 대급락합니다.오늘 코스피 대폭락합니다.오늘 한국증시 3%급락한다.

      홍콩 증시의 급락 여파로 홍콩H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에 연계된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조기 상환 실패 경고등이 켜졌다. 이달부터 10월까지 조기 상환 물량이 6조9000억원에 달해 2015년의 홍콩 증시발(發) ELS 원금 손실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홍콩 증시는 최근 들어 바닥 없는 추락을 이어가고 있다. 항셍지수는 지난 2월 고점에 비해 17% 넘게 하락했다. 이 가운데 홍콩H지수의 급락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홍콩H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11.89% 떨어졌는데 지난 2월 고점에 비해선 25.8% 급락했다. 이달에도 12.9% 내려앉았다.

      ELS는 일반적으로 6개월마다 평가해 상환 여부를 결정한다. 지수가 평가 당일 정해진 구간에 있어야만 조기상환이 가능하다. 만약 지수가 특정 구간을 벗어날 경우 추가적으로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지난 2월 발행된 홍콩H지수 연계 ELS는 이달 상환 여부가 결정된다. 규모는 1조5800억원 수준이다. 그러나 증시가 휘청이면서 조기상환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 2월 연고점을 찍을 정도로 홍콩H지수가 고공행진한 탓에 조기상환되려면 당시 지수 대비 95% 수준인 1만1156포인트를 넘어야 한다. 홍콩H지수는 현재 9070포인트 선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발행한 홍콩H지수 관련 ELS 금액도 조기 상환에 실패했다. 발행 규모는 1조4800억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58%인 8000억원 가량이 지난달 조기 상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H지수가 흔들리는 배경에는 계속되는 미중 무역 갈등과 중국 당국의 규제 강화가 꼽힌다. 중국 당국은 주요 빅테크는 물론, 금융, 교육 등 전방위적으로 규제 강도를 높이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홍콩 증시가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당분간 홍콩H 지수 관련 ELS 물량이 시장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이 나온다. 다음달과 10월엔 홍콩H 지수 관련 물량이 각각 2조1400억원원, 3조1600억원 수준이다. 각각 평균 기준가의 95% 수준은 1만622포인트, 1만448포인트 수준으로 집계됐다.

      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소한 1만500포인트를 회복하지 못하면 9, 10월에도 홍콩H 지수 관련 물량은 조기 상환이 어렵다”며 “하반기나 내년이라도 홍콩H 지수가 낙폭을 회복하면 조기 상환에 실패했던 물량들이 한 번에 상환되면서 ELS 발행의 재원이 될 수 있지만 당분간 홍콩H지수 관련 물량은 발행 잔고로 잠길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0
      2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