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경제적으로 가장 합리적 선택일까? [1]
      추천 7 | 조회 105 | 번호 1145851 | 2021.08.02 08:20 파랑이 일면 (hioya2***)
      "병 걸리면 죽는 것이면 몰라도 병 걸리면 부정식품 아래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50센트 짜리 햄버그를 팔면서 위생 기준은 5달러 맞춰 놓으면 이는 소비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것
      정부 공권력을 제한하면서 국민 형편을 살피는 것이라고 주장을 하는데
      여러분들은 경제적으로 이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일까요?

      이건 정부가 개인의 경제적 문제는 개입하지 않겠다는 것이지요
      작은 정부를 추구하는 분들이 주장하는 논리인데요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스스로 이성적인 판단에 따라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이지요

      주식 시장에서 상폐 기준 이하가 되어도
      회사가 망하지 않을 정도이면 거래가 되도록 하여
      싼 주식도 살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여기 기초수급 대상자도 있고 정부 보조를 받아 살아가는 분들의 경우
      안죽을 만큼 부정 식품으로 살아갈 수 있게 지원해준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적은 정부를 추구하니 그렇습니다
      정부가 개인의 경제적인 문제에는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반면 지금 정부는 큰 정부이고 그래서 최소한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도록 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입니다
      효율성 보다 공공의 복리를 강조한 정책을 추구합니다

      그래서 작은 정부와 큰 정부의 차이가 있습니다
      NE 능률을 선전하는 분이 있어 이 글을 올리는 것이다


      NE 능률은
      이 주식 파평윤씨와 관련되어 있어 정치 테마주가 되었지만
      이 회사는 다른 업종으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 누가 되어도 확장성이 없는 주식으로 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은
      PER 300이고 PBR4이네요 지금도 정상적인 가격이 아닙니다
      10년 이내에 지금의 10배 이상의 기업 매출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는데
      베팅을 한 것입니다
      그리고 기업 오너가 시세 차익을 낸 것에는 더 이상 투자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것은 기업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기업 오너입니다

      그럼 이런 주식은 아래에서 매수한 사람만이 지금에서 할 수 있는 것이며
      지금 들어가 더 상승할 수도 있지만
      결국에는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너무 부담감이 큽니다
      이런 주식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정치 테마주를 매수하여
      여기에 글 올리고는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할려면 여기 글 올리지도 않습니다










      7
      3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