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증시토론

추천수 베스트

      렉키로나의 현실적인 가격&매출조회 (펌글)
      추천 3 | 조회 80 | 번호 1141026 | 2021.02.22 20:58 miohx (mi***)
      항체 치료제의 가격에 대해 설왕설래하고 있는데, 충분히 그럴만합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릴리와 리제네론은 체중에 관계없이 단일 용량으로 처방하고, 셀트리온은 40mg/kg의 용량으로 처방하기 때문입니다.

      2)자국 판매 가격과 해외 판매 가격의 차이 때문입니다.

      위1)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항체치료제의 가격은 용량에 비례한다고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체치료제 용량은
      릴리는 700mg, 리제네론은 2400mg 단일 용량입니다.
      셀트리온은 40mg/kg이죠. 70kg 기준으로 2800mg이 필요하고, 960mg 3병이 소요됩니다.

      70kg 용량을 기준으로 해 보면,
      셀트리온의 렉키로나가 가장 많은 용량이 들어갑니다.

      렉키로나의 가격을 어떻게 가져갈 지 오늘 실적발표자료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걸 보고도 여전히 헷갈리기는 마친가지네요.
      타사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공급 예정이라는 문구가 역시 애매하거든요^^

      실적발표 자료에서는 타사 가격을 아래와 같이 적어 놓았네요.

      *1dose당 항체치료제 가격
      A사: $1,250 (138만)
      B사: $1,984 (218만원)

      기존 판매 계약 내용을 보면 A사는 릴리이고 B사는 리제네론이 됩니다.

      위 내용을 보고도 헷갈리는 이유는 역시
      A사나 B사는 단일 용량이고, 셀트리온은 40mg/kg의 용량으로 되기 때문입니다.
      기존 판매계약 내용을 보면 A사나 B사의 1dose는 1인당 단일 용량을 말합니다.
      릴리는 700mg이고,
      리제네론은 2400mg(1200mg+1200mg)입니다.

      셀트리온 제품은 70kg 체중 기준으로 2800mg이 소요됩니다.
      960mgx3=2880mg이 되니까 960mg 3병이 들게 되죠.

      그럼, A사와 B사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첫번째는 1인당 가격을 더 저렴하게 한다는 해석입니다.
      이 경우 1인당 $1,000 정도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300만명분 생산하면 3조3000억원 매출이 됩니다.

      두번째는 동일 용량 기준 더 저렴하게 한다는 해석입니다.
      이 경우 렉키로나 가격은 2400mg의 리제네론보다는 더 저렴한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인당 200만원 정도 예상됩니다.

      이 경우 300만명분 생산하면 6조원 매출이 되네요.

      항체치료제는 용량이 많을 수록 더 비용이 비싸지는데,
      과연 셀트리온은 릴리보다 4배의 용량을 제공하면서 1인당 가격을 릴리보다 싸게 공급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저는 위 두 번째 해석인 용량 기준으로 더 저렴하게 책정한다는 뜻으로 생각하고 싶네요.

      셀트리온 주주들은 마음 편하게 3조원 정도의 매출을 할 거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3조원 매출만 올려도,
      올해 영업이익보다 더 많은 이익을 렉키로나로 올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까지 리제네론의 칵테일 항체와 릴리의 단일 항체에 대한 미국과 독일의 계약 내용을 정리해 올려 봅니다.


      1)2020년 7월
      미국정부는 리제네론과 30만회분 4억5000만달러 구매계약을 합니다.
      이것은 1회당 $1,500이고 165만원이 됩니다.

      2)2020년 10월
      미국 정부는 릴리와 30만회분 3억7500만달러 구매계약을 합니다.
      이것은 1회당 $1,250이고, 137만5000원이 됩니다.

      3)2021년 1월
      미국정부는 리제네론과 125만도스 26억3000만달러 구매계약을 합니다.
      이것은 회당 $2,104이고, 231만원에 해당합니다.

      4)2021년 1월
      독일 정부는 리제네론과 릴리 항체를 합하여 20만회분 4억유로에 구매합니다. 회당 $2,400로 264만원에 해당합니다.

      5)2021년 6월까지
      미국정부는 릴리와 65만회분 8억1250만달러 구매계약을 합니다.
      가격은 1회당 $1,250$이고 137만5000원이 됩니다.


      리제네론과 미국정부 계약은 작년에 회당 165만원에서 올해 231만원으로 인상됩니다.
      릴리와 미국정부 계약 가격은 137만5000원으로 동일합니다.

      독일 정부에 리제네론과 릴리 항체 합산 평균 가격이 264만원이지만, 리제네론의 가격이 더 비쌀 것이고, 릴리 가격은 더 싸게 될 것입니다.
      (리제네론 320만원, 릴리 208만원 정도 추정)

      위와 같이 현재 드러난 계약 내용으로 판단해 보면,

      미국 내 가격은
      릴리 700mg 137만5000원
      리제네론 2400mg 231만원입니다.
      두 제품의 가격차이는 100만원 정도입니다.

      미국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독일 판매 가격을 예상해 보면
      리제네론 320만원 정도, 릴리 208만원 정도 됩니다.

      리제네론 2400mg의 해외 판매 가격이 320만원 정도이므로
      셀트리온 960mg 3병 가격이 270만원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독일 판매 가격으로 생각해 보면,
      셀트리온 렉키로나 1병 가격은 90만원 정도가 될 듯 싶네요.

      이렇게 적용하면,
      300만명분으로 하면 8조1000억원 정도가 됩니다.
      200만명분으로 하면 5조 4000억원 정도가 되네요.

      다시 정리하면,

      셀트리온 렉키로나의 해외 판매 가격은 용량 기준으로 볼 때,
      릴리보다 리제네론 가격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이 경우 리제네론보다 좀 낮은 병당 90만원 정도로 책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70kg 체중의 사람에게는 3병 270만원 정도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상 매출은 인당 3병 270만원 기준으로,

      200만명분이면 5조4000억원
      300만명분이면 8조1000억원 정도가 합리적 추정치가 됩니다.

      위 매출은 셀케 최종 판매 기준입니다.

      어제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가 계산한 것은
      이상적인 가격인데,

      현실적으로 릴리 700mg이 싸게 나와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가격으로 가져가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우리는 최소 3조~최대 8조원 정도로 예측하고 있으면 될 듯 하네요.
      물론 코로나19가 1년 이상 지속된다면 매출은 추가됩니다.

      셀트리온이 어떻게 계약할 지 조만간 드러나겠죠?

      모두 화이팅입니다!!!

      (셀옹님이 씽크풀에 올린 글을 옮겨 왔습니다)
      3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