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재테크 생생토크]성공 재테크의 핵심은 중간 점검
추천 0 | 조회 3188 | 번호 1102 | 2008.02.05 14:15 금융플라자 (finance1.***)
성공 재테크의 핵심은 중간 점검
글쓴이 : 조준행 (평생 부자로 사는 재테크 저자)

성공적인 재테크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철저한 중간 점검 시스템이다. 지금까지 많은 재테크 계획을 수립해왔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었다면 1월 한 달이 지난 지금 반드시 중간 점검을 해보아야 한다.

어떤 계획이던지 잘 짜여진 계획과 그렇지 못한 계획은 중간 실천 과정이 얼마나 철저하게 반영됐느냐의 차이이다. 대체로 우리의 계획들을 살펴보면 지나치게 결과 중심의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중간 실천 과정이 철저하게 반영되지 못한 결과 중심의 계획은 실패하기 매우 쉽다. 뿐만 아니라 실패한 이후에도 또다시 결과 중심의 계획을 수립하는 시행착오를 반복하게 만든다. 지금까지 많은 계획들이 실패를 반복했던 이유이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동일한 시행착오를 되풀이 하게 되는 것은 과정 중심의 계획과 결과 중심의 계획을 구분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금까지 우리는 지나치게 결과 중심의 계획에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두 가지의 계획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어쨌든 좋은 결과를 얻으려는 목표는 동일하다. 그러나 과정 중심의 계획은 실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실패 요소들을 미리 예상하여 극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를 놓고 보면 확연한 차이를 드러내게 된다.

재테크 계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동안 결과 중심의 재테크 계획을 수립해왔다면 재테크를 실패하게 만들었던 여러 가지 요인들을 찾아내어 재발 방지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렇다면 재테크 계획을 수립하면서 소홀히 하는 중간 과정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첫 번째로 생각해볼 문제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지나치게 결과 중심적으로 수립하는 것이다. 즉 단순히 희망 저축 계획을 수립한 경우이다.

우리는 돈의 유혹을 개인의 노력으로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요소로 생각하고 있다. 단순히 좀 더 절약하고 인내하면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자녀 교육비의 문제를 생각해보면 단순한 의지만으로 돈을 극복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잘 알 수 있다. 이처럼 강한 돈의 유혹에 둘러싸여 있는 생활 속에서 우리는 재테크를 너무 쉽게 달성하려 한다. 그러다보니 단순히 얼마를 저축하겠다는 재테크 목표를 수립한다. 당연히 실패의 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다.

또 하나의 요소는 지나치게 빨리 성공한 인생을 살려고 서두르는 삶의 태도이다. 우리의 지출 구조가 이렇게 커진 이유는 성공한 인생처럼 보이고 싶은 과시 욕망 때문이다. 좋은 차, 큰 집, 새로운 가전제품 등이 단순한 개인의 물질 욕심이라면 인내하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는 성공한 삶으로 평가 받고 싶어 하는 인간의 강한 욕망이 내포되어 있다. 우리 스스로가 좋은 차나 좋은 집을 성공의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은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는 이런 인식들로 인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면서도 서로를 희생자로 만들고 있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무리 좋은 재테크 계획도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

한 해를 결산해보면 1년 동안에도 이러한 재테크 위험 요소들이 아주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8년의 재테크 계획도 이런 위험 요소들로 인해 실패를 반복할 수 있다.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월 한 달이 지난 지금 전체적인 재테크 계획을 점검해보아야 한다. 목표했던 만큼 저축을 했다고 해서 성공적이라고 생각해서도 안 된다. 우선 지출 관리에 문제가 없는지를 점검해보자. 신용카드나 기타 지출에서 계획대로 진행되었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돈 관리 습관은 쉽게 고쳐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문제점이 발견되었다면 재테크 계획을 과감히 수정해야 한다. 막연한 결과 중심의 계획 수립이 문제였다면 재테크 계획을 수정해야 하며 돈 관리의 문제라면 돈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중간 점검 과정에서는 앞으로 남아있는 11개월의 상황도 예상해 보는 것이 좋다. 아주 많은 시간을 들일 필요는 없다. 주말 몇 시간 정도 수입과 지출 내용을 아주 상세하게 파악하여 점검해보면 된다. 지출 내용을 상세하게 점검해보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명확하게 드러난다.

1월에 중간 점검을 하지 않고 3~4개월이 지난 후, 문제점이 드러난 후에 수정하려고 하면 쉽지 않다. 이미 부채가 발생된 상태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1월에 중간 점검을 하게 되면 3~4개월까지는 큰 무리 없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 분기별, 반기별 점검을 통해 2008년의 재테크 목표는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의 점검으로 365일의 땀과 노력이 성공적인 재테크 결과로 나타난다면 게을리 할 이유가 없다.

[조준행 '평생 부자로 사는 재테크'의 저자]


[재테크 생생토크] 돈을 위한 재테크, 삶을 위한 재테크
[재테크 아이큐] 보험! 알뜰하게 소비하면 짭짤
[재테크 생생토크] 성공 재테크 비밀은 '티끌모아 태산'
[재테크칼럼] 가정 경제를 횡적으로 분석하라



※ 본 글은 '나의 금융생활 네트워크' Daum 금융플라자(http://home.finance.daum.net/)에서 제공하며, 당사의 허락 없는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