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7%까지 인상됐다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지난해는 그야말로 '펀드의 해' 였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많은 은행의 예적금이 펀드시장으로 대거 이동하는 '쓴맛' 을 경험한 은행들이 능동적으로 투자자를 모으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이러한 '펀드 열풍' 속에서도 "원금 보장이 안 되는 펀드는 믿을 수 없다" 며 은행 예금만을 선호하는 보수적인 투자자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안전성과 수익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금융상품은 없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전성과 수익성의 조화를 이룬 상품이 분명 존재합니다. 단, 최근 유행했던 '주식형 펀드' 와 같은 고수익을 기대할 수 는 없지만, 일반 정기예금보다 다소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복합예금' 이라는 금융상품이 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답니다.
<재테크가 처음인 당신을 위한 재테크 잘하는 책>(한스미디어. 2007)에는 복합예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전하고 있습니다.
먼저 복합예금이란, 은행에서 일반 정기예금보다 높은 고금리의 정기예금에 지수(주가지수, 골드지수 등)연동정기예금을 결합시켜 동시에 판매하는 상품입니다. 정기예금이 일정비율로 가입하기 때문에 지수연동예금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대신 기대수익률 역시 다소 낮아지는 상품이죠. 주가지수연동예금의 수익률이 주식시장의 급등으로 0% 또는 최저보장 수익률로 확정되는 사태가 발생한 이후 주가지수연동예금보다 복합예금에 대한 관심이 다소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복합예금은 지수연동예금의 수익률이 0%가 되더라도 정기예금금리는 그대로 수령할 수 있어 최소한 수익은 확보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죠.
복합예금은 지수연동예금의 연동지수가 최고 수익률을 달성하거나 넉아웃(투자기간 중 주가 또는 지수가 정해진 수준까지 한번이라도 상승했다면 처음 계약할 때 확정된 수익을 주는 것) 조건에 못 미치는 상당폭의 상승을 기록할 경우 정기예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넉아웃 조건 충족으로 지수연동예금이 정기예금 금리보다 낮은 수익률이 확정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정기예금보다 못한 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라 해도 지수연동예금에만 가입하는 경우보다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기예금과 지수연동예금의 중간단계의 위험을 지닌 상품으로 정기예금보다 다소 높은 수익을 기대하고 투자하기에 적합한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책이 전하는 '복합예금 투자 포인트' 입니다.
첫째, 지수연동예금 투자 포인트를 먼저 숙지하라
-복합예금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할 상품은 역시 지수연동예금 부분이기 때문이다.
둘째, 복합예금은 확정금리형 상품이 아니다
-은행이 제시하는 고금리는 복합예금에 포함된 정기예금에만 해당하는 금리이며 복합예금 전체의 수익률은 지수연동예금의 수익률 변동에 의해 결정됩니다.
셋째, 정기예금과 지수연동예금 가입비율을 확인하라
-최근에는 대부분 5:5의 비율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이 판매하는 새로운 복합예금의 경우 정기예금과 지수연동예금의 결합이 아닌 상이한 두 지수(주가지수와 골드지수)를 묶은 복합예금도 있으므로 상품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합니다.